자료실
신뢰감 대 불신감
- 이 단계는 프로이드의 구강기에 해당되는 시기로서 ,출생에서 약 1세까지를 가리킨다.
이 시기 동안에 유아가 맺게 되는 사회적 관계는 주로 돌보아 주는 사람인 어머니와의 관계이다.
유아가생의 초기에 처음으로 맺게 되는 사회 관계에서 어머니가 유아의 신체적, 심리적 욕구와 필요를적절히 충족시켜 주면서 그를 일관성 있게 돌보아 주면, 유아는 어머니 또는 돌보아 주는 사람을신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기가 오줌을 쌌거나 배가 고플 때 어머니가 곧 이를 알아차려 그의 요구에 잘 응해주면,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번에 비슷한 사태에 부딪쳤을 때에 도, 어머니가 곧 자신의필요를 충족시켜 주거나 고통을 덜어 줄 것이라고 기대하게 된다.
그러나, 아기의 요구와 필요에잘 응해 주지 못하거나, 아기를 다루는 방식에 일관성이 없게 되면 아기는 불신감을 가지게 된다.
에릭슨은 이 시기를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 보았는데, 그 이유는 이 시기에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 생의 후기에 맺게 되는 모든 사회 관계에서의 성공적인 적응과 밀접합 관련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점은 에릭슨이 신뢰감만을 강조하고 불신감의 효용을무시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는 인간의 참된 성장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불신감의 경험도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긍정적인 성격발달을 위해서는 불신감보다 기본적 신뢰감을 많이 경험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에릭에릭슨의_발달8단계요약
#최면_심리상담_양자심리학
#프로최면_의학최면_자격증반
#최면학박사과정_로드랜드대학교
#타로심리상담사자격증반
#타로_심리_최면_양자심리학
#한국로드랜드아카데미
#날이가면갈수록_모든면에서_더욱더좋아집니다
#교육상담학위문의_박소현치유학박사_031_8043_2474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