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감각기능의 역할
감각기능의 역할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수학 선생님이 칠판 위에서 어려운 문제를 능숙하게 풀어가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광경은 학원에서 흔히 목격되며, 선생님은 수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기억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매년 수험생을 대상으로 비슷한 범위의 문제가 출제되기 때문에, 특정 문제에 대한 해법이 머릿속에 즉시 떠오르는 것입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눈이 사물을 식별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잘못된 인식입니다. 사물을 인식하고 식별하는 것은 눈이 아니라 뇌의 역할입니다. 인간에게는 세상을 인식하는 다섯 가지 감각기관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에너지 변환장치로 작용합니다.
눈은 살아있는 자동 카메라와 같아서, 빛을 조절하고 받은 빛의 자극을 화학적 변환장치가 전기적 자극으로 변환하여 뇌의 시각령으로 보냅니다. 이곳에서 입력된 정보가 판독되어 비로소 "뇌가 보는 것"이 됩니다.
귀도 마찬가지로, 외부의 소리 자극을 전기적 자극으로 변환하여 뇌의 청각령으로 전달합니다. 실제로 소리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것은 뇌입니다. 즉, "뇌가 듣는 것"입니다.
코는 냄새 자극을 전기적 자극으로 변환하여 뇌의 후각령으로 보내고, 미뢰는 음식물의 화학적 자극을 전기적 자극으로 변환하여 미각령에 전달합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 진정한 인식은 뇌에서 이루어집니다. 피부도 온도와 압력 자극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뇌의 감각령으로 보내고, 뇌가 이를 해석하여 감각을 느끼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눈, 귀, 코, 미뢰, 피부는 각각 감각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뇌가 모든 감각을 처리하고 인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뇌는 감각기능뿐만 아니라 시상(thalamus)을 통해 인간의 정신기능, 학습기능, 사고와 행동까지도 관장합니다. 또한, 뇌는 심장 박동, 조직 성장, 소화, 동화작용, 배설작용 등 모든 생명기능을 조절합니다.
더욱이, 감각이 주어지면 그것은 소리기록, 영상기록 등 다양한 형태로 뇌에 새겨지며, 뇌에 저장된 정보를 다시 생산하기 위해 추가적인 감각 자극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마치 잠을 자면서 꿈을 통해 보고 듣는 것처럼, 이미 경험한 감각은 외부 자극 없이도 다시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자기최면을 통해 감각과 대상을 분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최면의 근본 원리이다.
#최면_흥미_기억력_공부_창조_영감
#최면으로_공부방식과_기억력을키워라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